교통행정과 소관 `24년도 제3회 추가경정예산안에 대한 제안설명드리겠습니다.
407쪽입니다.
`24년도 제3회 추가경정예산은 기정액 대비 22억 1,433만 3,000원이 감액된 555억 4,423만 5,000원입니다.
감액 사유는 집행잔액과 특조금 교부 및 국도비 변경 내시에 따른 예산을 삭감하는 사항으로 유인물로 보고를 갈음하고 증액된 예산에 대하여 보고드리겠습니다.
407쪽 중간에 교통 소외지역 맞춤형 버스 지원사업비 6억 600만 원을 반영하고, 교통약자 이동 편의 증진을 위해 저상버스 2대 도입비로 1억 8,400만 원을 계상하였습니다.
408쪽입니다.
대중교통 이용 시민들의 교통비 일부를 환급해주는 The 경기패스 지원사업비로 국비 2억 5,000만 원과 도비 7,500만 원, 시비 1억 7,500만 원을 편성하고, 청소년 교통비 지원을 위해 자치단체간 부담금으로 1억 6,664만 9,000원을 계상하였습니다.
409쪽입니다.
버스정보시스템 통신요금비 1억 5,784만 원과 대광위 광역버스 준공영제 사업 자치단체간 부담금으로 21억 1,833만 6,000원을 반영하고, 교통안전시설물 전기요금 부족분 7,000만 원을 증액한 2억 7,000만 원을 계상하였습니다.
이상으로 제3회 추가경정예산안에 대한 설명을 마치고 계속해서 `25년도 일반회계 및 주차장특별회계 본예산안에 대한 제안설명을 드리겠습니다.
예산안 715쪽입니다.
일반회계 본예산은 전년도 예산액 대비 196억 8,718만 원이 증액된 580억 4,749만 6,000원입니다.
먼저 교통행정 운영비 920만 원을 반영하고 교통질서 계도활동 지원사업비 4,500만 원과 교통 근무자와 자원봉사자 쉼터 운영비로 1,000만 원을 계상하였습니다.
716쪽입니다.
버스, 택시, 화물자동차의 유가보조금으로 120억 원과 교통 소외지역 맞춤형 버스 손실지원금으로 5억 6,070만 원을 편성하고, 저상버스 도입 지원사업비 13억 5,000만 원과 운영지원비로 7,500만 원을 계상하였습니다.
717쪽입니다.
만성적인 적자로 재정적 어려움을 겪고 있는 공영 벽지노선의 손실보전금으로 16억 원을 반영하고, 국가 벽지 8개 노선에 대한 운영지원비 3억 9,455만 원을 계상하였습니다.
중간에 공영버스 운영 업체의 손실금 지원비 6억 3,063만 원을 편성하고, 수도권 환승 할인에 따른 운영 결손금 지원비 15억 4,196만 원과 도시형 교통모델 사업비 4억 4,000만 원을 계상하였습니다.
718쪽입니다.
광역버스 무료 와이파이 통신비 3,413만 6,000원을 반영하고, 시내버스 무료 와이파이 임차운영비로 3,590만 4,000원과 시내버스 운송업체의 경영 및 서비스 개선 사업비로 9,285만 7,000원을 계상하였습니다.
하단에 버스운전자 양성교육 부담금 2,240만 원을 편성하고, 대중교통 이용 시민들의 교통비 일부를 환급해주는 The 경기패스 지원사업비 7,800만 원과 자치단체간 부담금 3,326만 5,000원을 계상하였습니다.
719쪽입니다.
경기도 광역버스 준공영제 부담금 23억 4,639만 4,000원과 도 공영버스 구입비 지원금 6,750만 원을 계상하였으며, 만 65세 이상 어르신 교통비 지원을 위하여 교통카드 제작비 등 일반운영비 1억 1,900만 원을 반영하고 교통비 지원금 15억 9,800만 원을 계상하였습니다.
하단에 어린이와 청소년 교통비 지원사업비 1억 308만 7,000원과 시내버스 운영 운수업체의 청소년 요금 할인액 지원금 부담금으로 8,594만 8,000원을 계상하였습니다.
720쪽입니다.
대광위 광역버스 준공영제 사업비 35억 7,000만 원을 반영하고, 경기도 시내버스 공공관리제 운영비 58억 8,467만 5,000원과 관내 시내버스 운수업체 재정지원금 3억 8,690만 7,000원을 계상하였습니다.
중간에 대중교통 소외지역인 우금2리 등 37개 마을의 사랑택시 운행비 지원금 12억 7,872만 원과 택시 이용요금 1만 원 미만에 대한 카드 결제 수수료와 단말기 통신료 지원사업비로 각각 5,591만 7,000원과 691만 원을 계상하였습니다.
721쪽입니다.
법인택시 운수종사자와 처우개선비 8,020만 원과 택시쉼터 운영 관리를 위하여 공공요금 등 일반운영비로 1,700만 원, 운영위탁금 300만 원과 체력단련실 조성 자산취득비 1,000만 원을 반영하고, 택시 후미 안전등 설치를 통해 교통사고를 예방하고자 안전등 설치 지원 보조금 2,273만 1,000원을 계상하였습니다.
722쪽입니다.
특별교통수단 도입 지원비 9,800만 원과 교통약자 이동지원센터 운영비 지원을 위하여 국도비를 포함한 36억 5,854만 3,000원을 반영하고, 버스정보시스템 통신요금 납부와 노후 서버 교체비로 4억 3,944만 원을 계상하였습니다.
723쪽입니다.
65세 이상 운전자 면허증 자진반납 지원금으로 5,490만 원을 편성하고, 포천도시공사 위탁사업비로 관내 유료 공영주차장 운영 전출금 1억 1,001만 6,000원과 포천공영버스터미널 운영 전출금 7,650만 2,000원을 계상하였습니다.
724쪽입니다.
교통시설 설치 및 유지관리를 위하여 교통안전시설 전기료 및 통신요금 등 일반운영비 7억 6,000만 원을 반영하고, 버스 승강장과 차선분리대 등 유지보수비와 교통정보 CCTV 및 온열의자 설치비 등으로 20억 2,400만 원을 계상하였습니다.
버스정보 안내전광판 15개소 설치비와 유지관리 용역비 2억 8,000만 원, 교통안전표지 설치 및 유지관리비로 17억 원을 계상하였습니다.
725쪽입니다.
교통신호시설 설치 및 유지관리비 11억 6,000만 원과 노후된 버스정류소 시설물 및 버스 안내전광판 교체를 위하여 9억 3,200만 원, 어린이 보호구역 개선사업비 10억 8,200만 원을 계상하였습니다.
726쪽입니다.
노인 보호구역 개선사업비 1억 9,500만 원을 계상하였습니다.
하단에 차량등록사업소 운영비와 부서 행정운영경비는 서면으로 보고를 갈음하고 계속해서 729쪽부터 주차장특별회계 본예산에 대하여 제안설명드리겠습니다.
주차장특별회계 본예산은 전년도 예산액 대비 92억 9,149만 4,000원이 증액된 103억 6,870만 원입니다.
주차장 관리를 위한 일반운영비로 4억 8,575만 원을 계상하였습니다.
730쪽입니다.
공영주차장 62개소 유지관리비와 불법 주정차 단속 장비 설치비 등으로 4억 원을 반영하고, 주택가에 방치된 자투리 땅과 나대지를 활용한 소규모 주차장 2개소 조성사업비 4,000만 원, 신읍동 포천4블록 공영주차장 조성사업비 20억 원, 태봉공원 공영주차장 조성사업비로 47억 원을 계상하였습니다.
731쪽입니다.
공영주차장 조성을 위한 사업비로 송우리 소흘8블록 재림묘원에 3억 원을 반영하고, 영중면 양문리에 1억 8,500만 원, 내촌면 내리에 5억 원, 포천초교 신읍길에 16억 4,000만 원을 계상하였습니다.
하단에 주정차단속원 인력운영비는 서면으로 보고를 갈음하고 이상으로 교통행정과 소관 예산안에 대한 제안설명을 모두 마치겠습니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