계속해서 기후환경과 소관 예산안에 대한 일괄 제안설명을 드리겠습니다.
먼저 3회 추가경정예산안입니다.
예산안 343쪽이 되겠습니다.
3회 추경예산안은 기정액보다 12억 9,993만 8,000원이 감액된 565억 8,341만 5,000원을 계상하였습니다.
집행잔액 감액 및 보조금 반환은 설명을 생략하고 증액되거나 신규사업에 대해서만 설명을 드리겠습니다.
344쪽의 상단 부분입니다.
포천시 환경계획 수립 용역 업체 선정을 위해 평가 운영위원회를 개최함에 따라 참석수당 215만 원을 계상하였습니다.
같은 쪽에 운행경유차 배출가스 저감사업입니다.
대기오염 저감을 위한 노후 경유차의 폐차 및 저감장치 부착을 지원하는 사업으로 조기 폐차 신청 접수가 증가함에 따라서 2억 5,210만 원을 증액하여 31억 8,241만 원을 계상하였습니다.
345쪽의 중간 부분에 유해 야생동물 포획보상금 지급 사항입니다.
고라니, 멧돼지 등의 유해 야생동물의 포획 수 증가에 따라서 포획보상금은 3,000만 원이 증액된 2억 2,000만 원을, 피해보상금은 1,000만 원이 증액된 6,000만 원을 계상하였습니다.
같은 쪽 하단부입니다.
멧돼지 폐사체 처리비입니다.
멧돼지 포획 증가 및 ASF 확산 방지를 위해서 사체처리비로 7,000만 원을 추가 계상하였습니다.
다음은 2025년도 본예산에 대해서 제안설명을 드리겠습니다.
주요사업과 신규사업 위주로 설명을 드리겠습니다.
예산안 575쪽이 되겠습니다.
기후환경과의 일반회계 예산안은 2024년도 대비 102억 4,554만 9,000원이 감액된 365억 455만 5,000원을 계상하였습니다.
576쪽에 중간 부분입니다.
기후변화 대응을 위한 온실가스 배출권 구매 비용 1억 원을 계상하였습니다.
또한 「온실가스 배출권의 할당 및 거래에 관한 법률」에 따라서 우리 시가 2022년 7월 온실가스 배출권 할당 대상지로 지정됨에 따라 2023년부터는 매년 이행계획서를 작성하여 검증을 받아야 합니다.
따라서 온실가스 배출량 명세서 및 배출량 산정계획서 작성·검증 용역비로 8,200만 원을 계상하였습니다.
다음은 577쪽 중간 부분입니다.
탄소중립 지원센터 운영 사업이 되겠습니다.
탄소중립 실천마을 공동체를 선정해서 탄소중립 실천 문화를 확산시키기 위해서 국비 1억 원을 포함한 2억 원을 계상하였습니다.
다음은 581쪽 하단부입니다.
사회복지시설 에너지자립 지원사업이 되겠습니다.
민간 경로당 등 사회복지시설 3개소에 태양광 설치를 통해 전기요금 절감 등 에너지복지 실현을 위해서 1,861만 2,000원을 계상하였습니다.
다음은 582쪽 상단부입니다.
아파트 RE100 지원사업입니다.
공동주택에 미니태양광 설치비를 일부 지원하여 신재생에너지 보급을 확대하기 위한 사업으로 4,384만 8,000원을 계상하였습니다.
다음은 586쪽 하단부입니다.
소규모 세탁소 VOC 저감 지원사업입니다.
초미세먼지 오존 발생의 원인이 되는 휘발성 유기화합물의 저감을 위해 영세한 소규모 세탁소에 친환경 세탁기를 교체 지원하는 신규사업으로 4,000만 원을 계상하였습니다.
다음은 587쪽의 중간 부분입니다.
투명페트병 회수를 위해서 2024년도에 이어 내년도에도 무인회수기 2대를 추가 설치 운영하고자 2,950만 원을 계상하였습니다.
다음은 588쪽의 상단부입니다.
청소대행 및 음식물류 처리 등 민간위탁금으로 총 84억 5,600만 원을 계상하였습니다.
같은 쪽의 중간 부분입니다.
쾌적한 가로환경 조성사업입니다.
현장근로자 통합 관리로 폐기물의 신속한 처리 및 깨끗한 거리 환경을 조성하고자 노면살수차량 운행 보조 인건비로 1억 4,998만 7,000원을 계상하였습니다.
다음은 590쪽 중간 부분입니다.
깨끗한 쓰레기 처리 감시원을 운영하고자 국도비 보조사업으로 6억 4,000만 원을 계상하였습니다.
바로 아래쪽에 무단투기 감시카메라 설치사업입니다.
생활폐기물 무단 배출을 방지하기 위해서 무단투기 감시카메라를 운영하여 시민의 불편을 해소하기 위해서 5,600만 원을 계상하였습니다.
같은 쪽 하단부에 다회용기 재사용 촉진 지원사업입니다.
청사 등 일회용품 사용 저감을 위한 다회용기 세척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서 1,050만 원을 신규 계상하였고, 591쪽 하단부입니다.
경기도의료원 장례식장 다회용기 지원사업으로 다회용기 대여·세척비로 1,400만 원을 도비로 계상하였습니다.
592쪽 상단 부분입니다.
환경자원센터의 효율적인 운영 관리를 위해 전년도보다 14억 1,211만 2,000원이 감액된 82억 6,996만 2,000원을 계상하였습니다.
594쪽 상단부입니다.
자원회수시설 운영비, 재활용 잔재물 처리비 등의 민간위탁금이 전년도보다 31억 5,000만 원이 감액된 51억 7,160만 원을 계상하였습니다.
감액된 사유는 자원회수시설 사용료 7개월 정도의 사용료를 계상해서 감액된 부분입니다.
부족분은 추경에 확보하여 자원회수시설 운영에 차질이 없도록 하겠습니다.
다음은 594쪽 중간 부분입니다.
자원회수시설 개선사업입니다.
운영 중인 자원회수시설이 노후화되어 시설 개선이 필요한 2호기에 대하여 시설을 개선해서 정상 가동하고자 민간위탁 사업비로 17억 8,500만 원을 계상하였습니다.
참고로 1호기는 금년 12월까지 개선을 완료할 계획입니다.
같은 쪽 하단부에 생활자원회수센터 현대화 사업입니다.
운영 중인 환경자원센터는 20년이 경과한 시설로, 수 선별하는 시설로 선별 효율이 저하되어 자동선별 시설을 갖추어 근무자의 근무여건 개선 및 선별 효율을 향상시키고자 추진하는 사업으로 총 사업비 130억 원 중 2025년도 사업비로 50억 9,000만 원을 계상하였습니다.
생활자원회수센터는 현재 기본 및 실시설계를 진행하고 있으며, 2025년 8월에 착공해서 2027년 2월 준공을 목표로 추진하고 있는 사업이 되겠습니다.
다음은 595쪽 하단부입니다.
우리 시 자원회수시설 설치 운영에 따른 주변영향지역의 주민을 지원하기 위해 폐기물처리시설 주변영향지역 주민 지원 전출금으로 5억 7,307만 5,000원을 계상하였습니다.
바로 아래쪽입니다.
우리 시에 내구연한 경과 및 노후화를, 처리 용량이 부족하여 증설하는 자원회수시설을 정상 추진하고자 폐기물처리시설 설치기금 전출금으로 10억 원을 계상하였습니다.
다음은 계속해서 기금운용 계획 123쪽에 폐기물처리시설 주변영향지역 주민 지원사업 세출예산안에 대해서 제안설명을 드리겠습니다.
125쪽부터 126쪽까지 운용 총칙 및 다음 쪽의 자금수지총괄 및 수입 계획은 서면으로 설명을 갈음드리고, 129쪽의 지출 계획에 대해서 설명을 드리겠습니다.
2025년도 폐기물처리시설 주변영향지역 주민 지원사업 지출 계획은 2024년 예산보다 9,553만 1,000원이 증액된 15억 4,726만 1,000원을 계상하였습니다.
129쪽에 주변영향지역 건강 지원 사업으로 6,300만 원, 장학금 및 학자금 지원으로 1,500만 원, 행사 실비 지원금으로 264만 원을 계상하였습니다.
130쪽에 중간 부분입니다.
주변영향지역 마을 지원사업에 2억 원, 만세교1리 주거환경 개선사업으로 1억 원 등을 반영하여 총 6억 4,131만 2,000원을 계상하였습니다.
같은 쪽 하단에 예치금으로 8억 7,324만 9,000원을 반영하였습니다.
다음은 폐기물처리시설 설치기금 운용 계획안에 대해서 제안설명을 드리겠습니다.
142쪽의 지출 계획에 대해서 설명을 드리겠습니다.
폐기물처리시설 설치기금 예치금은 83억 22만 3,000원으로 계상하였으며, 시 출연금 축소로 폐기물처리시설 기금운용 변경 계획 심의를 거쳐 1회 추가경정예산안 편성 시 수정할 계획입니다.
이상으로 기후환경과 소관 일괄 제안설명을 모두 마치겠습니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