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업기술센터소장 정영원입니다.
농업정책과 소관 2024년도 제3회 추가경정예산안, 2025년도 본예산안에 대하여 제안설명드리겠습니다.
먼저 2024년도 제3회 추가경정예산안에 대해 보고드리겠습니다.
보고는 삭감되는 항목에 대하여는 설명을 생략하고 증액되거나 신규 편성되는 항목에 대하여만 설명을 드리도록 하겠습니다.
농정과 소관 2024년도 제3회 추가경정예산액은 당초 예산보다 11억 966만 2,000원 감액된 414억 7,183만 5,000원입니다.
먼저 439쪽 하단 친환경 인증 농산물을 학교급식에 공급함으로써 건강한 학교급식 실현 및 농가들의 안정적인 판로 확보를 위한 친환경 등 우수농산물 학교급식 지원사업으로 2,300만 원 증액된 2억 5,400만 원을 계상하였습니다.
다음 440쪽 상단 포대벼 수매 기피 현상으로 공공비축미 확보에 어려움이 있어 건조벼 수매에 소요되는 포장재, 인건비를 보전하여 공공비축 포대벼 매입을 확대하고자 공공비축 및 수매농가 지원사업비로 2,298만 원을 계상하였습니다.
440쪽 중간 자연재해로 인해 농작물 피해를 받은 농가의 소득 및 경영 안정을 도모하기 위하여 농작물 재해보험 가입 지원으로 2억 7,390만 원이 증액된 12억 7,390만 원을 계상하였습니다.
다음 441쪽 상단 2024년 7월 8일부터 19일까지 발생한 호우로 피해 받은 농가에 위로금을 지원하여 원활한 영농 복귀에 기여하고자 호우 피해 재해복구비 지원으로 3,150만 원을 계상하였습니다.
다음 442쪽 상단 쌀 적정 생산을 유도하고 식량자급률을 제고하여 밭작물 재배 농업인의 소득을 증대시키기 위하여 밭작물 육성 지원사업비로 20만 3,000원 증액된 191만 2,000원을 계상하였습니다.
이상으로 농업정책과 소관 2024년도 제3회 추가경정예산안에 대한 제안설명을 마치고 2025년도 본예산안에 대하여 보고드리겠습니다.
농업정책과 소관 2025년도 본예산은 2024년 본예산 대비 23억 7,608만 7,000원 증액된 407억 9,388만 5,000원을 편성하였으며, 연례 증액 없이 반복되는 사업과 일반적인 사항은 자료로 갈음하고 자체사업 및 주요사업 위주로 설명드리도록 하겠습니다.
먼저 800쪽 하단 「석면안전관리법」 제22조3항 및 시행령 제33조에 의거 농업기술센터 1층 교육장 및 축산과, 농기계교육장 석면을 제거하고자 석면 건축물 교체비로 5,000만 원을 편성하였습니다.
다음 801쪽 상단 고령 농업인 및 신체적으로 불편한 교육생을 위해 농업기술센터에 승강기를 설치하여 센터 환경을 개선하고자 농업기술센터 교육편의시설 설치공사비로 3억 3,000만 원을 편성하였습니다.
이어서 조직개편에 따른 축산과 인원 증원과 다수의 민원인 방문으로 인한 민원인 불편 야기에 따라 쾌적한 사무공간 확보 및 민원인 업무 편의 제고를 위하여 축산과 사무실 확장 공사비로 1억 3,680만 원과 사무용가구 취득비로 7,200만 원을 편성하였습니다.
다음 농업인 금융 부담 경감으로 영농 의욕을 고취하고 소득 증대를 통해 농촌경제 활성화에 기여하고자 농업농촌진흥기금 출연금 5,000만 원을 편성하였습니다.
801쪽 중간 농지 이용행위 전수조사를 통해 농지대장 정비 및 효율적인 농지 관리를 도모하고자 농지이용 실태조사 지원사업으로 1억 2,385만 원을 편성하였습니다.
801쪽 하단 포천시농업재단 운영을 위하여 출연금으로 21억 5,600만 원을 편성하였습니다.
다음 802쪽 농업계학교의 실습 및 스마트팜 등 첨단 농업기술 교육을 위한 시설과 장비를 지원하여 예비 전문농업인 육성 및 실습교육 강화를 도모하기 위해 농업계학교 실습장 지원사업으로 5억 원을 편성하였습니다.
802쪽 중간 시장 공약사항인 포천시 농업인회관 건립과 연계한 농업기술센터 증축사업 추진을 위해 농업인 종합교육관 건립비 15억 원을 편성하였습니다.
이어서 향후 농업인을 선도해나갈 농업인을 육성하기 위하여 선발 농업인에게 시설 장비를 지원해주는 농어업소득333프로젝트 사업으로 2억 원을 편성하였습니다.
802쪽 하단 농촌공간 재구조화법 시행에 따라 농촌공간에 대한 지리, 환경 등의 여건에 따른 농촌공간관리계획을 수립하여 우리 시 농촌공간의 효율적 관리 및 농촌지역의 정주환경을 개선하고자 농촌공간 재구조화 및 재생 기본계획 수립 용역비로 3억 원을 편성하였습니다.
803쪽 상단 농업인에게 농업 관련 동향 등 정보 제공을 하는 농업소식 및 정보 제공 사업으로 8,329만 4,000원을 편성하였습니다.
이어서 출산 또는 출산 예정인 여성농업인의 모성 보호와 보육 여건 개선을 위하여 농가도우미 지원사업비로 900만 원을 편성하였으며, 여성농업인의 건강 증진 및 삶의 질 향상을 위하여 여성농업인 행복바우처 지원사업으로 5,520만 원을 편성하였습니다.
다음 804쪽 상단 여성농업인의 농작업 질환 예방 및 건강복지 증진을 위해 여성농업인 특수건강검진 지원비로 5,742만 원을 편성하였습니다.
804쪽 중간 젊은 농업인력의 영농정착을 통한 지역농업 활력 부여 및 농촌 고령화 문제를 완화하고자 청년농업인 영농정착 지원사업비로 11억 8,326만 원과 청년농업인 영농정착 지원 선발운영비로 1,158만 원을 편성하였습니다.
804쪽 하단 외국인 계절근로자 운영 및 지원을 위한 프로그램을 도입하고 유지하기 위하여 외국인 계절근로자 관리 프로그램 사용료 2,000만 원을 편성하였습니다.
805쪽 상단 포천을 대표하는 농업인 단체인 한국후계농업경영인 포천시연합회와 한국여성농업인 포천시연합회 육성을 통해 농업인의 결속력과 전문성을 향상시켜 포천시 농업 발전에 기여하기 위한 사업으로 세부 편성내역은 자료로 갈음하겠습니다.
805쪽 중간 농촌지역의 인력 지원체계 구축을 통해 농촌지역 고령화, 농촌인력 감소 및 계절성에 따른 농촌 일손 부족 문제를 완화하고자 외국인 계절근로자 관리 프로그램 운영 위탁사업비로 1억 670만 원을 편성하였습니다.
805쪽 하단 도시민 방문 유도를 위한 체험 할인비용 등 지원으로 체험마을 홍보 및 활성화 모색을 위하여 체험마을리더 교육 지원사업비로 170만 9,000원을 계상하였습니다.
806쪽 상단 농촌체험·휴양마을에 역량을 갖춘 사무장 채용을 지원함으로써 도농 교류 및 농촌관광 활성화 도모를 위하여 농촌체험·휴양마을 사무장 활동비 지원으로 1억 584만 원을 편성하였습니다.
다음 체험객의 안전한 체험활동을 보장하기 위하여 농촌체험·휴양마을 보험가입 지원으로 403만 2,000원을 편성하였고, 재난에 취약한 농촌 민박시설에 대해 민간 전문인력을 활용한 안전점검을 추진하여 농촌 민박의 안전성을 강화하고자 농촌 민박 안전관리 지원사업으로 980만 원을 편성하였습니다.
다음 807쪽 상단 수출에 소요되는 포장재 비용 일부를 지원하여 수출 농가 및 업체의 수출 의욕을 제고하기 위하여 농식품 국제시장 진출 지원으로 4,426만 8,000원을 편성하였습니다.
다음 우리 시의 고품질 쌀 생산 및 지원 육성, 소비 촉진을 장려하기 위하여 고시히까리 포장재 지원 등 3개 사업 3억 8,100만 원을 편성하였습니다.
이어서 관내 어린이집 유치원에 지역특산물 등 가공식품을 간식으로 제공함으로써 지역경제 활성화와 포천 어린이의 건강 증진을 도모하고자 포천 어린이 간식 지원사업비로 3억 9,600만 원을 편성하였습니다.
807쪽 하단 G마크 등 경기도 우수농식품 생산 경영체의 제품 경쟁력을 강화하기 위해 G마크 등 포장재 지원사업으로 800만 원을 편성하였으며, G마크 인증 경영체의 노후 생산·유통시설 개보수 및 신규 설치 등 구입 지원을 위한 생산·유통시설 지원비로 1,740만 원을 편성하였습니다.
808쪽 상단 학교에 공급하는 친환경농산물 차액을 지원하는 사업으로 친환경농산물의 가치를 보존하고 건강한 학교급식을 실현시키고자 친환경 등 우수농산물 학교급식 지원사업으로 4억 3,000만 원을 편성하였습니다.
다음 연중 다양한 제품이 생산·공급될 수 있도록 납품 농가 및 직매장을 지원하고 로컬푸드 직매장 운영 활성화 및 농가소득 증대를 도모하고자 로컬푸드 연중생산 체계 구축사업으로 3억 9,433만 2,000원을 편성하였습니다.
808쪽 중간 과일 섭취를 통한 어린이 식습관 개선과 건강 증진을 도모하고 국산 과일의 안정적인 소비 기반을 마련하고자 어린이 건강과일 공급사업으로 2억 3,200만 원을 편성하였습니다.
808쪽 하단 로컬푸드 직매장 출하 농가에 납품 농산물 포장재 비용을 지원하여 로컬푸드 포장재 지원사업으로 2,713만 원을 편성하였습니다.
809쪽 상단 경기미를 사용하는 전통주, 쌀 가공식품 제조업체에 대한 지원으로 안정적인 소비처 확보 및 농가소득 증대를 위하여 푸드테크 기업 등 경기미 구매 차액 지원으로 1억 533만 2,000원을 편성하였습니다.
이어서 전통주 제조업체에 배송비, 포장비 등을 지원하여 전통식품산업 활성화 및 경기농산물 소비 촉진을 도모하고자 전통주 소비 활성화 지원사업으로 3,736만 원을 편성하였습니다.
다음 도매시장 출하 농산물 판매금액의 10% 이상을 차지하는 포장재 비용을 지원함으로써 농업인들의 부담을 경감하기 위한 도매시장 출하용 포장재 지원사업으로 2억 원을 편성하였습니다.
809쪽 하단 임신부터 출산, 이유기까지 친환경농산물을 공급하는 경기 임산부 친환경농산물 지원사업으로 6,912만 원을 편성하였습니다.
다음 810쪽 상단 로컬푸드 직매장 출하자에 대한 역량강화를 통한 직매장 운영 안정을 도모하고자 로컬푸드 직매장 출하자 교육비로 2,100만 원을 편성하였습니다.
810쪽 중간 농식품 가공업체의 기존 시설의 보완 및 증설 비용을 지원하여 식품산업 활성화를 도모하고자 푸드테크 기업 등 시설 개선 지원사업비로 1억 4,000만 원을 편성하였습니다.
다음 농어업인의 농번기 및 성어기 공동급식 제공으로 농업 작업 집중도를 향상시켜 인력 부족 문제 완화 및 농업 생산성 제고를 위한 농번기 농어촌 공동급식 지원사업비로 2,133만 3,000원을 편성하였습니다.
이어서 관내 농산물 소비 활성화에 기여하고자 농산물 택배비 지원사업으로 1억 5,000만 원을 편성하였습니다.
810쪽 하단 관내 중소·고령·여성농 등을 위주로 농가 조직화를 통한 상설 농산물 직거래 공간을 설치 지원하여 안정적 판로 보장과 지역경제 활성화를 위한 로컬푸드 직매장 개설 지원사업비로 2,400만 원을 편성하였습니다.
다음 811쪽 상단 로컬푸드 직매장에서 판매되는 농산물의 안정성 확보를 통해 유통질서를 확립하고자 로컬푸드 농산물의 잔류농약 검사비를 지원하는 로컬푸드 안전성 검사 지원비로 1,703만 원을 편성하였습니다.
다음 812쪽 상단 관내 군에 농산물을 납품하는 농가 및 군납농협의 물류비를 지원하는 접경지역 군납농산물 활성화 지원사업으로 960만 원을 편성하였습니다.
812쪽 중간 외식업체 운영에 맞춤형 전문 경영컨설팅 지원을 통한 외식업 경쟁력 강화 및 농업과 연계 활성화를 위하여 컨설팅 지원사업비로 6,000만 원을 편성하였습니다.
812쪽 하단 농특산물 통합브랜드 개발용역 완료에 따른 마케팅 전략으로 브랜드 홍보비로 4억 612만 원, 브랜드를 활용한 포장재 지원사업비로 3억 원을 편성하였습니다.
다음 813쪽 계속 반복되는 농업 재해로 보험 가입에 대한 필요성이 증대됨에 따라 안정적인 지원으로 농가소득 및 경영 안정에 기여하고자 농작물 재해보험 가입 지원으로 12억 9,442만 7,000원을 편성하였고, 농업인 안전재해 보험 가입 지원으로 2억 7,290만 7,000원을 편성하였습니다.
813쪽 중간 농업활동을 통해 환경보전, 농촌유지, 식품안전 등 농업·농촌의 공익기능 증진과 농업인 등 소득 안정을 도모하고자 공익형 직접지불제 사업으로 134억 5,200만 원을 편성하였습니다.
813쪽 하단 식량자급률을 제고하고 쌀 수급 안정 및 논 이용률 제고로 농업인의 소득 안정을 도모하고자 전략작물 직불제로 2억 7,600만 원을 편성하였습니다.
814쪽 상단 사회적 가치 창출 활동에 대한 정당한 보상과 충분한 기회 제공을 통해 농어촌 고령화, 인구 감소, 기후변화 등 농어촌 소멸위기 대응을 위한 농어민 기회소득 지원사업비로 78억 4,600만 원을 편성하였습니다.
다음 815쪽 상단 농업인들에게 유기질 비료 구입비를 지원하는 사업으로 토양 환경을 보전하여 지속 가능한 농업 추진 및 고품질 농산물 생산에 기여하고자 유기질 비료 지원 전환사업비로 13억 4,978만 6,000원, 품질검사비로 609만 4,000원을 편성하였습니다.
다음 농업경영체 등록지에 3년 1주기 방식으로 규산, 석회를 공급하는 사업으로 농지의 지력을 유지 보전하여 친환경 농업 실천 기반을 조성하고자 토양개량제 지원으로 3억 2,700만 1,000원을 편성하였습니다.
이어서 친환경농가의 초기 소득 감소분 및 생산비 차이를 보전하여 친환경농업 확산에 기여하기 위해 친환경농업 직접지불제로 1,665만 9,000원을 편성하였습니다.
815쪽 하단에서 816쪽 상단 친환경 인증 검사비용 50%를 지원하는 친환경농산물 인증 확대 사업으로 자체사업비 2,300만 원, 도비사업으로 2,500만 원을 편성하였습니다.
816쪽 중간 친환경 농자재를 지원하여 환경오염을 줄이고 유기농업 확산 및 친환경농업 육성을 위하여 유기농업 자재 지원사업으로 8,807만 8,000원을 편성하였습니다.
다음 농경지에 대한 토양·용수 안전성 분석 및 GAP 인증농가 검사비를 지원하는 GAP 안전성분석 지원으로 4,000만 원을 편성하였습니다.
816쪽 하단 환경오염 문제 개선을 위해 장기성 코팅 하우스 필름 및 생분해성 멀칭제 등 비용을 지원하는 환경친화형 농자재 지원사업으로 4,252만 4,000원을 편성하였습니다.
다음 817쪽 상단 친환경농산물 인증 확대를 위한 신규 진입 농가 등에 대한 지원으로 일반 농가와 소득 차이를 보전하고자 친환경 인증 유지 장려금으로 2,690만 7,000원을 편성하였습니다.
다음 친환경 재배를 위한 친환경 상토, 왕우렁이, 친환경 재배 소득 보전 지원 등을 위하여 친환경 벼 복합생태농업 실천단지 조성으로 1,171만 9,000원을 편성하였습니다.
이어서 농경지 영농 과정에서 발생하는 영농폐자재 수거비를 지원하여 영농 활성화를 유도하기 위하여 영농폐자재 수거비 지원사업으로 8,640만 원을 편성하였습니다.
817쪽 하단 고령 및 중소 농업인의 영농 편의 도모 및 농촌 일손 부족 문제를 해소하고자 농업용관리기 등 소형농기계 지원사업으로 7,500만 원을 편성하였습니다.
다음 818쪽 상단 농산물 생산·유통·판매 등에 필요한 시설 및 장비를 지원하여 지역 특성에 맞는 기반 확충 및 현대화로 농업 경쟁력을 강화하고자 선택형 맞춤 농정으로 7억 6,520만 원을 편성하였습니다.
다음 버섯 생산시설 현대화 사업으로 5,400만 원을 편성하였고, 농기계 등화장치 부착 지원사업으로 930만 원을 편성하였습니다.
818쪽 하단 특용작물 인삼 시설현대화 지원사업으로 1억 787만 5,000원을 편성하였습니다.
다음 819쪽 관내 과수농가에 계약재배 확대를 위한 출하비를 지원하는 과수 계약재배 농가 출하비 지원사업으로 5,200만 원을 편성하였고, 친환경 생태보전 재배장려금으로 3,221만 8,000원을 편성하였습니다.
819쪽 하단, 820쪽 상단 스마트팜 ICT 융복합 확산 시설 보급사업으로 236만 원을, 농업 에너지 이용 효율화 에너지절감시설 지원사업으로 1,780만 5,000원을 편성하였습니다.
820쪽 중간 트랙터, 콤바인 등 노후 농기계의 조기 폐차 지원을 통해 농업 분야의 미세먼지 저감을 실현하고자 노후 농업기계 미세먼지 저감 대책 지원으로 2,590만 원을 편성하였습니다.
다음 밭작물 기계화와 생력화를 통한 재배유통 기반 조성으로 생산비용 절감 및 식량자급률 향상 도모를 위하여 밭작물 생산재배단지 기반 조성 지원사업비로 8,797만 5,000원을 편성하였습니다.
마지막으로 학교급식 지원입니다.
자체 재원으로 25억 5,623만 8,000원의 예산을 편성하였으며, 관내 유·초·중·고 26개교 학생들의 학교급식 비용을 지원하며 국비는 교육청에서, 도비는 도청에서 직접 지원하는 사업입니다.
이상으로 농업정책과 소관 2025년도 본예산에 대한 제안설명을 모두 마치도록 하겠습니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