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자리경제과 소관 `23년도 행정사무감사 자료에 대해서 보고드리겠습니다.
먼저 1쪽 민간위탁사무 관리 현황입니다.
민간위탁사무는 백운계곡 유지관리 1건으로 경기도 하천계곡지킴이 운영 및 지원 조례에 의거 위탁하는 사업입니다.
다음은 각종 위원회 현황 및 운영 실적으로 생활임금위원회 등 10개 위원회가 구성되어 있습니다.
다음은 3쪽 일자리 경제 추진 1-1 2022년 부진사업 추진 현황입니다.
`23년 이월사업 및 집행률 50% 미만 부진 사업은 6건으로 2건은 올해 안에 완료될 예정이며, 4건은 코로나로 인한 한시적 사업 및 사업부지 미확보 등으로 사업이 종료되었습니다.
다음은 4쪽부터 5쪽까지 1-2 주요 사업 추진 현황입니다.
총 7건으로 신규 사업 1건과 계속 사업 6건입니다.
내용은 자료를 참고해 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다음은 6쪽 1-3 공모사업 현황 및 집행, 예산 집행 내역입니다.
`22년도에는 경기도 일자리센터, 시군 맞춤형 직업교육 지원 등 10개 사업과 올해에는 청년공동체 활동 지원 등 8개 사업이 선정되어서 사업을 추진하였습니다.
다음은 8쪽부터 11쪽까지 1-4-1 단위사업별 불용액 및 전용액 현황입니다.
먼저 일반회계입니다.
`21년 일자리 창출 등 12개 사업 71억 1,000만 원으로 32%이며, `22년도에는 일자리 창출 등 12개 사업 62억 1,400만 원으로 26%입니다.
발전소주변지역지원사업특별회계는 `21년도에 8개 사업이며 불용액은 1억 7,300만 원입니다.
GS포천그린에너지 등 2개 사업은 산업통상자원부심의지역위원회 이월 승인에 따라서 `22년도 제2회 추경에 반영해서 정상 추진하였으며, 그외 불용액은 집행잔액입니다.
`22년은 11개 사업으로 불용액은 1억 8,400만 원입니다.
포천복합화력발전소 등 6개 사업은 이월승인에 따라서 `23년도 제2회 추경에 반영하였으며 그 외 불용액은 집행잔액입니다.
다음은 12쪽부터 15쪽까지 1-4-2 단위사업별 국도비 교부 및 집행 반납 현황으로 내용은 자료를 참고해 주시기 바랍니다.
16쪽 2-1 일자리 창출 사업 추진 실적입니다.
`22년도에는 일자리센터 운영으로 2,298명, 지역공동체 일자리 사업 등 추진으로 114명이 취업하였습니다.
계속해서 17쪽 `23년 4월 말 기준으로 일자리센터 운영으로 834명, 지역공동체 일자리 사업 추진으로 37명이 취업하였습니다.
다음은 18쪽 2-2 근로자 복지 증진 사업 추진 실적입니다.
건설현장 및 제조업체에 대한 산업재해 예방 활동을 위한 노동안전지킴이 운영과 현장 노동자를 위한 휴게시설 개선 사업 및 이동노동자 쉼터를 운영 중에 있습니다.
19쪽 `23년도 노동안전지킴이 4명을 채용하였으며, 사회복지시설 등 2개소에 대한 휴게시설 개선 사업과 이동 노동자를 위한 안전 및 세무상담 교육 프로그램을 추진하고 있습니다.
다음은 20쪽 2-3-1 대학일자리센터 지원 사업 추진 실적입니다.
대진대학교 대학일자리 플러스센터 운영 지원 사업으로 대학 내 진로 상담 및 취업 프로그램 운영 등을 추진하고 있습니다.
계속해서 21쪽 2-3-2 예비청년 지원은 직업계 고등학교 학생에게 취업 특강을 제공하는 것으로 자료를 참고해 주시기 바랍니다.
계속해서 2-4 직업상담사별 구직자 상담 및 취업 실적입니다.
`22년도에는 직업상담사 10명이 상담 알선 2만 4,141건, 취업 834건, 올해에는 상담알선 6,397건, 취업은 356건의 실적을 거두고 있습니다.
계속해서 22쪽 하단부터 30쪽까지 2-5 직업소개사업소 폐업 미신고 보증보험증권 가입 현황 및 지도점검 실적은 자료로 갈음하겠습니다.
다음은 31쪽 2-6 채용박람회 추진 실적입니다.
`22년도에 일자리 박람회를 개최하였고 맞춤형 일자리 연계와 취업 관련 컨설팅을 실시한 바 있습니다.
올해는 4월 26일에 개최하였습니다.
1월 17일 지역 일자리 목표공시제 추진 실적입니다.
`22년도 고용률 64.3%이며 올해 목표는 69.4%입니다.
다음은 32쪽 3-1-1 소상공인 융자 지원 현황으로 `22년도에는 8개 업체에 1,480만 원, 올해는 6개 업체에 299만 5,000원을 지원하였습니다.
3-1-2 소상공인 보증지원 현황은 `22년도에는 133개 업체에 33억 6,600만 원을 지원했고, 올해는 78개 업체에 17억 2,300만 원을 지원하고 있습니다.
다음은 33쪽 3-2 코로나19 포천시 소상공인 재난지원금 지원 현황입니다.
`22년도에 민생경제회복지원금으로 소상공인 7,347개소에 36억 7,400만 원, 코로나19 방역 패스 적용시설 1,668개소에 1억 6,400만 원을 지급하였습니다.
다음은 34쪽부터 35쪽, 3-3 포천사랑 상품권 운영 현황으로 `22년도부터 `23년 3월까지 447억 원을 판매하였습니다.
계속해서 포천사랑상품권 발행 현황은 `22년 352억 3,649만 원, 올해에는 86억 9,778만 6,000원을 발행하였으며, 상품권을 사용하는 데 불편이 없도록 지류형 상품권 가맹점 3,635개소를 모집하였습니다.
가맹점 모집 현황 및 홍보실적은 자료를 참고해 주시기 바랍니다.
다음은 36쪽 3-4 공공배달앱 활성화 추진 실적입니다.
포천시 배달특급은 `22년 4월부터 운영하였으며, 가맹점수는 2022년 756개소, 올해 3월까지 850개소가 등록하였습니다.
950개의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서 포천특급의날 및 매월 프로모션을 진행하고 있으며, SNS 등을 활용해서 지속적인 홍보 활동을 추진하고 있습니다.
다음은 37쪽 4-1 도시가스 공급 사업 추진 현황으로 `22년 청담동 학사마을 구간은 노선 변경으로 인해서 사업 추진이 지연되고 있으며, 올해는 자작2통과 어룡1통은 12월에 준공 예정입니다.
이어서 38쪽 우리 시 도시가스 보급률은 `22년 말 기준으로 해서 48.1%이며, 공급 현황은 자료를 참고해 주시기 바랍니다.
다음은 39쪽 4-2 마을단위 LPG 집단공급 추진 현황입니다.
`22년 탄동2리 49가구에 대해서 진행을 했고 LPG 소형 저장탱크 및 배관망 설치를 완료했습니다.
다음 40쪽 4-3 저소득층 연료 지원 사업 추진 현황입니다.
`22년 에너지 바우처 등 3개 사업으로 3,757가구를 지원하였으며, 올해에는 취약계층 난방 등유 및 LPG 지원 사업으로 953가구를 지원하고 있습니다.
다음은 41쪽부터 42쪽 5-1 포천시 지역공동체 육성 및 활성화 실적입니다.
`22년 지역공동체 육성 등 4개 사업을 추진하였으며 올해에도 동일하게 사업을 추진하고 있습니다.
다음은 43쪽부터 44쪽 5-2 공모사업 추진 현황으로 `22년 마을자치공동체 지원 등 8개 사업을, 올해에는 청년공동체 활동 지원 등 9개 사업을 추진하고 있습니다.
사업 내용은 자료를 참고해 주시기 바랍니다.
다음은 45쪽부터 46쪽 5-3 사회경제 활성화 지원 현황입니다.
`22년은 사회적경제 창업 등 6개 사업을 지원하였고, `23년은 사회적기업 취약계층 인건비 지원 사업 등 3개 사업을 추진하고 있습니다.
47쪽 5-4 한탄강문화예술촌 조성 사업 추진 현황입니다.
사업부지 미확보로 인해서 보조금 교부 결정이 취소되었습니다.
미확보 부지를 제외한 신규 사업을 부서별로 검토 중에 있다는 말씀을 드리겠습니다.
이어서 5-5 접경지역 주민 자생적마을 활력 사업 및 5-6 유휴공간 문화재생사업 추진은 자료로 보고를 갈음하고, 49쪽 5-7 신읍동 행복마을관리소 설치 및 운영 현황으로 2018년도에 개소해서 환경 개선, 취약계층 지원 등 다양한 활동을 하고 있습니다.
다음은 50쪽부터 51쪽 6-1 청년센터 운영 현황입니다.
`23년 1월 개소 후에 취창업, 문화·여가 등의 프로그램 운영과 대관 서비스를 실시하고 있습니다.
또한 청년센터 내에 청년기업을 입주하기 위해 창업공간을 조성한 바 있습니다.
이어서 52쪽부터 53쪽 6-2 청년취업 지원 프로그램 운영 실적 및 6-3 지역주도형 청년 일자리 사업 추진 현황입니다.
사업 내용은 자료를 참고해 주시기 바랍니다.
다음은 54부터 55쪽 6-4 청년정책위원회 및 청년협의체 등 운영 현황입니다.
먼저 당연직 6명, 위촉직 9명 등 15명으로 구성된 청년정책위원회가 구성되어 2021년도 실적 및 `23년도 시행계획에 대해서 심의하였습니다.
청년협의체로는 44명으로 이루어진 청년정책 서포터즈 구성되어 있으며, 전체 회의 분과별 워크숍 등을 통해서 청년들을 위한 정책 발굴에 많은 의견을 제시하고 있습니다.
이상으로 일자리경제과 행정사무감사 자료에 대한 보고를 마치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