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획예산담당관 김남현입니다.
저희 부서 소관 2023년 행정사무감사에 대해 보고를 드리겠습니다.
우선 먼저 1페이지에 공통 사항, 민간위탁 관리현황은 해당 사항이 없으며, 각종 위원회 현황 및 운영 실적은 포천시 시정조정위원회 등 총 9개 위원회를 관리 및 운영하고 있으며 실적은 아래와 같이 서면으로 갈음하겠습니다.
다음은 5페이지 1, 기획예산 추진에 1-1 2022년 주요 사업 추진현황은 신규 사업으로 고모호수공원 경관 및 둘레길 정비사업 1건이며, 계속비 사업으로 운산~비둘기낭간 도로 확포장공사 등 총 19건을 추진하고 있습니다.
보조재원별 사업을 분류하면 특수상황지역 개발 사업이 7건, 경기도 지역균형발전사업이 4건, 6페이지에 접경권 발전 지원 사업이 1건, 생활SOC 복합화 사업이 2건, 주한미군 공여구역 주변 지역 등 지원사업이 6건 등으로 모두 정상적으로 추진되고 있습니다.
다음은 7페이지에 1-2 사업별 결산현황으로 1-2-1 단위사업별 불용액 및 전용액 현황입니다.
우선 2022년도에는 총 예산액 1,313억 원 중 520억 원을 지출하였으며, 불용액은 793억 원이고 전용액은 없습니다.
주요 불용 내역은 시정기획 평가관리에서 약 20억 원을 불용하였는데 이중 이월액이 약 17억 6,700만 원이 되겠습니다.
이월내역은 청년비전센터 리모델링 사업으로 사고이월이 11억 6,700만 원, 명시이월이 6억 원이 되겠습니다.
아울러 재난기본소득 불용액은 약 40억 원이며 이 중 13억 2,000만 원을 이월하여 사용하였으며 기타 예비비는 732억 원을 불용 처리하였습니다.
자세한 사항은 서면으로 갈음하겠습니다.
다음은 중간쯤 2022년도에는 총 예산액 349억 원 중 115억 원을 지출하였으며 불용액은 237억 4,700만 원입니다.
주요 불용 내역은 시정기획 평가관리에서 2억 2,800만 원을 불용하였는데 이중 5,000만 원을 이월하였으며 이월 내역은 청년비전센터 리모델링이 되겠습니다.
재난기본소득은 6,100만 원 불용하였고, 예비비는 233억 7,700만 원을 불용 처리하였습니다.
기타 자산사항은 서면으로 갈음하겠습니다.
다음 8페이지에 1-2-2 단위사업별 국도비 교부 및 집행 반납 현황입니다.
2021년도에는 코로나 상생 국민 지원금 지급에 따른 잔액 5,648만 5,000원을 반납하였으며 이는 기간제근로자 인건비 및 사무관리비 집행잔액이 되겠습니다.
2022년에는 저희 부서 국도비 보조금 집행잔액은 없습니다.
이어서 9페이지에 2, 기획 2-1 협약서 체결 관리 및 추진현황입니다.
우선 2022년도에는 9페이지부터 31페이지까지 총 56건의 협약을 체결하여 추진하고 있으며 이는 대부분 의회에서 예산을 심의받아 추진한 사항으로 업무 추진을 위해 전문기관 등에 위수탁하는 협약과 기관단체 간 상생 발전을 위한 업무협약 등이 되겠습니다.
기타 건별 협약 내용은 서면으로 갈음하겠습니다.
다음 32페이지에 41페이지까지의 2023년도 협약 체결 현황은 총 26건을 체결하여 추진하고 있습니다.
이 또한 대부분이 전문기관에 업무를 위수탁하는 협약이 되겠습니다.
다음은 42페이지에 2-2 민선8기 공약사업 미이행 실적 및 대책입니다.
우선 민선 8기 공약사업 153건 중 추진 불가는 1건으로, 이는 포천버섯 재배 확대 지원 및 육성 건으로 추진 불가 미이행 사유는 추가 시비 확보를 통해 보조비율 50%를 80%로 확대하여 융자금 30%를 한시적으로 시비 보조금으로 전환하여 지원한 공약사업이었으나, 보조금관리위원회의 심의 결과 부적정 결정되어 지속적인 확대 지원은 불가능한 것으로 심의되었습니다.
다음은 같은 페이지에 2-3 역점사업 관리 및 추진현황입니다.
2023년도 역점사업은 포천시 청사 증축 사업 등 총 74건으로 현재 대부분 정상 추진되고 있습니다.
자세한 사항은 서면으로 갈음하겠습니다.
다음 51페이지에 2-4 시정혁신분권연구단 운영 실적 현황입니다.
기존의 시정혁신분권연구단은 민선8기 취임 이후 포천시 정책자문단으로 개편되어 운영되고 있으며, 정책자문단은 위촉직 위원 20명 이내로 구성하고, 임기는 2년으로 연임이 가능합니다.
시정 주요 정책 방향 및 시책 추진에 관한 사항의 자문 및 연구 등을 주요 기능으로 운영하고 있습니다.
추진 현황은 2022년 10월에 포천시 정책자문단 설치 및 운영 조례안을 의회에 상정하여 심의를 받아, 작년 11월 16일에 조례를 공포 시행하였으며, 금년 1월 20일에 정책자문단 20명을 위촉하여 운영하고 있습니다.
현재 시정 각종 주요 사업 및 용역보고서에 자문을 수행하고 있고, 5월 말 현재 시정연구과제는 8건을 지정하여 연구 중에 있습니다.
다음은 52페이지에 2-5 정책실명제 운영 현황입니다.
정책실명제 운영 목적은 행정기관이 수립하여 시행하는 주요 정책에 참여한 관련자의 실명과 의견을 기록 및 관리하고 공개함으로써 정책의 투명성과 책임성을 높이기 위해 시행하는 제도가 되겠습니다.
이는 행정효율과 협업 촉진에 관한 규정, 포천시 정책실명제 운영 조례 및 행안부 운영지침에 의거 운영하고 있습니다.
대상 사업은 매년 주요 사업 30건 이상 선정하여 공개하고 있고, 공개 내용은 사업명과 담당자, 선정 기준, 사업 기간 등 추진 내용이 되겠으며, 정책 실명 대상자 범위는 정책 수행자 및 건설공사와 용역 관련자 전원이 되겠습니다.
다음은 운영 계획으로 공개 대상 사업 선정기준은 시민 생활에 크게 영향을 미치는 제도 및 정책과 30억 원 이상 건설사업 및 1억 원 이상 용역사업 등이 되겠습니다.
선정 방법은 정책실명제심의위원회의 심의 의결을 거쳐야 하며 현재는 포천시 성과관리위원회에서 대응하고 있습니다.
다음 53페이지에 정책실명제 운영 관리 계획입니다.
우선 공개는 포천시청 홈페이지 행정정보에 공개하고 있으며, 정책실명제 대상 사업 선정 현황은 행안부에 제출하게 됩니다.
운영 방법의 일정은 금년도에는 6월 말까지 부서별로 신청 및 접수를 받아서 8월까지 부서 협의와 심의 및 확정하여 홈페이지에 공개할 예정에 있습니다.
다음은 54페이지에 4 정책실명제 증축 관리 대상사업 선정 목록입니다.
우선 2022년도에는 총 65건을 선정하여 공개하였으며, 54페이지부터 58페이지까지 선정 목록은 자료로 참고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다음은 58페이지 하단에 2023년도 행안부 및 경기도의 추진계획 공문이 5월에 시달되어 6월부터 신청 및 접수를 받아 8월에 공개할 예정에 있습니다.
또한 같은 58페이지 맨 하단에 2-6 지역균형발전 사업 발굴 및 추진실적 현황은 5페이지에 1-1 2022년 주요 사업 추진현황과 동일함으로 생략하도록 하겠습니다.
다음은 59페이지에 2-7 시정조정위원회 및 협의회 등 운영실적 현황입니다.
2022년도에는 총 8회에 10개 안건을 심의하여 처리하였는데 코로나19로 인해서 모두 서면심으로 운영하였습니다.
심의 안건 중 청사신축기금 관련 안건이 3건이고, 중요 소송 지정 심의 안건이 4건이며, 기타 3건이 제안제도 채택 심사 등이 되겠습니다.
61페이지까지 심의 내용은 서면으로 갈음하겠습니다.
다음은 61페이지 하단에 2023년도에는 총 5개 안건을 심의하여 처리하였는데 모두 서면심의로 내부평가 1건, 청사신축기금 관련 2건, 중요 소송 지정 2건이 되겠습니다.
자세한 사항은 서면으로 갈음하겠습니다.
다음 63페이지에 2-8 포천혁신발전 경영진단 결과 사업 발굴 현황입니다.
본건은 2019년도에 민선 7기를 효율적으로 추진하기 위한 전략 마련을 위해 시정 운영 전반에 대한 진단을 통해서 전략적인 경영관리 계획안을 도모하고자 추진한 사항이 되겠습니다.
아울러 포천 혁신발전 경영진단 결과 총 22건을 발굴한 바 있으며, 이중 기 시행 및 추진 완료가 4건, 추진 중이 6건, 검토 중인 4건, 추진 불가 8건 등이 되겠습니다.
다음은 66페이지에 2-9 포천시 인구정책 추진 실적입니다.
우선 저희 부서는 인구정책 총괄부서로서 총괄 및 대외 홍보 실적을 보고드리면 우선 생애주기별 맞춤지원 안내서 책자를 매년 6,000부씩, 포천시 귀농귀촌 길라잡이 책자를 매년 1,000부씩 각각 제작하여 배부하고 홈페이지에 게시하고 있습니다.
다음은 인구정책 추진 및 인구 회복 시책 개발 추진실적으로 인구정책실무추진단을 지속적으로 운영하고 있고, 인구 활력 정책 아이디어 공모전을 매년 개최하여 2022년도는 6건을 심사하여 시상한 바 있습니다.
다음은 67페이지 상단에 2022년도에 2회에 거쳐 학생 및 공무원을 대상으로 저출산 인식 개선 인구교육을 실시하였고, 2023년도에는 인형극 5개소, 뮤지컬 4개소 등 8개 학교에 대해 찾아가는 인구교육을 추진한 바 있습니다.
이어서 같은 페이지 중간에 인구 정책 추진실적 평가 체계 마련 및 2022년 시행계획을 평가하여 성과 제고 및 개선 권고안 도출 방안으로 활용한 바 있으며, 총 102개 사업을 서면 심사하여 평가한 바 있습니다.
계속해서 하단 부분에 2024년 포천시 인구정책 시행계획을 수립하였고, 총 28개 부서에서 105개 사업을 선정하여 추진하고 있습니다.
다음은 68페이지 상단에 2023년 인구정책 분야별 간담회를 추진 중에 있으며 각계각층 분야별 시민들과의 진솔한 대화의 자리를 마련하여 인구정책 과제를 새로이 발굴하고 있습니다.
또한 2024년 인구활력 사진 및 동영상 공모전을 현재 추진하고 있으며, 향후 인구정책 홍보 영상을 제작 활용할 예정에 있습니다.
하단 부분 2023년 부서별 인구 정책 목록 105개 사업은 서면으로 갈음하겠습니다.
다음은 74페이지에 3, 예산 3-1 연도별 국도비 지원사업 총액 현황입니다.
2022년도에는 총 1,093개 사업에 국비 2,584억 원, 도비 993억 원 등을 포함하여 총 5,347억 원을 확보하여 지원하였습니다.
110페이지까지의 자료는 서면으로 갈음하겠습니다.
다음 110페이지 중간입니다.
2023년도 국도비 지원사업 총액 현황은 916개 사업에 국비 2,673억 원, 도비 99억 원 등을 포함해서 총 4,840억 원을 확보하여 지원하였습니다.
아울러 141페이지까지의 자료는 세부 자료는 서면으로 갈음하겠습니다.
다음은 141페이지에 3 2 주요 사업 투자 심사 및 용역과제 심의 현황입니다.
2022년도 투자 심사 현황은 총 59건을 심사하였으며 이중 적정 26건, 조건부 33건이 되겠습니다.
150쪽까지 세부 내용은 서면으로 갈음하겠습니다.
다음은 151페이지에 중간 부분에 금년도 투자 심사 현황은 총 20건이며 이중 적정 6건, 조건부 10건, 재검토 1건, 심사 중 1건이 되겠으며 심사 중은 경기도 심의 안건으로 현재 조건부 안건 적정 2건으로 시달된 바 있습니다.
154페이지까지의 세부 내용은 서면으로 참고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다음은 154페이지에 2022년도 용역과제 심의 현황은 총 43건을 심의 완료하였으며, 이중 적정위 31건, 조건부가 7건, 재검토 4건, 부적정 1건 등이 되겠으며 157페이지까지 세부 내용은 서면으로 참고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다음은 157페이지 하단에 2023년도 용역과제 심의 현황은 총 35건으로 이중 적정이 26건, 조건부가 9건 등이 되겠습니다.
자세한 자료는 서면으로 갈음하겠습니다.
다음은 160페이지에 3-3 예산 변경 사용 현황에 3-3-1 예산 전용 및 이용 내역은 해당 사항이 없으며 다음은 3-3-2 예산 변경 내역입니다.
2022년도에는 총 44건을 변경하여 승인하였으며 166페이지 상단까지 세부 내역은 서면으로 갈음하겠습니다.
166페이지입니다.
2023년도에는 3월 말까지 총 6건을 변경하여 승인하였으며 역시 세부 내용은 서면으로 갈음하겠습니다.
다음은 167페이지에 3-3-3 예산 이체 내역입니다.
2022년도에는 총 21건을 승인하여 이체한 바 있으며 이는 조직 개편에 따른 사무조정 및 부서 분할에 따른 예산 이체가 되겠습니다.
2023년도에는 해당 사항이 없습니다.
다음은 같은 페이지에 3-4 각종 기금 관리 집행 현황입니다.
2022년도 현황은 포천시 남북교류협력기금 등 총 12개 기금을 관리하고 있으며, 예산액은 157억 원을 편성하며 103억 원을 집행하였습니다.
170일까지 기금별 예산액 및 집행액을 서면으로 갈음하오니 참고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아울러서 통합재정안정화기금은 사업비 없이 예치금만 편성하여 관리하고 있어서 작성 대상에서 제외하였다는 말씀을 드립니다.
171페이지에 2023년도 현황은 포천시 남북교류협력기금 등 총 12개 기금을 관리하고 있으며 예산액은 87억 원이며 이중 3월 말 현재 집행액은 21억 원이 되겠습니다.
역시 자세한 집행내역은 서면으로 갈음하겠습니다.
다음은 175페이지에 3-5 주민참여예산 사업 집행 현황입니다.
2022년도 현황으로 선정 사업은 총 11건으로 18억 800만 원이 되겠습니다.
하단에 하단 부분의 미선정 사업은 총 30건으로 기 시행 사업이거나 읍면동 주민숙원사업 대상으로 추진함이 타당하다고 사료되어 미선정하였습니다.
죄송하지만 선정 예산 금액 단위가 1,000원이 아니고 100만 원으로 오타가 나서 수정하도록 하겠습니다.
다음은 176페이지 2023년도 현황입니다.
선정 사업은 총 11건으로 21억 3,700만 원을 지원하였으며 177페이지 미선정 사업은 총 15건으로 대부분 사전 검토 비용 및 중장기 검토 추진할 사업과 상급기관 협의 미추진 등으로 미선정되었습니다.
다음은 178페이지에 3-6 최근 3년간 예비비 집행 내역입니다.
2020년에는 총 6건에 35억 5,100만 원을 결정하여 35억 1,900만 원을 지출하였습니다.
편성 사유는 코로나 방역 물품 구입 및 ASF 긴급방역비와 소송 판결에 따른 공탁금 및 손해배상금이 되겠습니다.
하단 부분에 2021년도에는 총 10건의 387억 9,500만 원을 결정하여 362억 6,800만 원을 지출하였습니다.
편성 사유는 재난기본소득 지급과 고병원성 AI방역비, 살처분 보상금, 소송비용 등이 되겠습니다.
다음은 179페이지 하단에 2022년도에는 총 9건에 26억 7,800만 원을 편성하여 13억 2,500만 원을 지출하였습니다.
편성 사유는 한해 대비 수리시설 유지보수와 법원 판결에 따른 손해배상금, 민생경제 회복 지원금 초과분, 호우 피해에 따른 소하천 수해복구비와 이태원 사고 생활안정지원금 등이 되겠습니다.
다음은 187페이지 중간에 3-7 국도비 공모사업 유치 현황입니다.
먼저 2022년도 응모 및 선정 내용은 총 53건을 공모해 응모하여 34건이 선정되었으며 총사업비 규모는 총 104억 9,700만 원이 되겠습니다.
부서별 공모 및 선정 내용은 서면으로 갈음하겠습니다.
다음은 182페이지 하단에 2023년도 응모 및 선정 내용은 3월 말까지 총 17건을 응모하여 7개 사업이 선정되었으며 2건은 심사 중에 있습니다.
총사업비 규모는 총 5억 3,700만 원이 되겠습니다.
다음은 183페이지 중간 부분에 3-8 최근 3년간 시책추진 업무추진비 예산 현황입니다.
먼저 2020년에는 481억 원, 2021년도에는 467억 원, 2022년도에는 508억 원이 되겠습니다.
시책추진 업무추진비 총액은 매년 경기도에서 일정 공식에 의해 산정하여 시달해주고 있습니다.
다음은 3-9 순세계 잉여금 발생 현황입니다.
2020년도에는 655억 4,600만 원, 2021년도에는 1,576억 4,600만 원, 2022년도에는 929억 1,800만 원 등이 순세계 잉여금로 발생하였습니다.
특히 2021년도에 순세계 잉여금이 크게 증가했던 사유는 당초 세입액이 추정액보다 358억 원이 초과 징수되었고 예비비 743억 원이 집행잔액으로 불용되었습니다.
다음은 184페이지 상단에 3-10 최근 3년간 이월사업 현황입니다.
2020년에는 1,273억 4,500만 원, 2021년도에는 1,479억 3,800만 원, 2022년도에는 1,942억 9,600만 원 등이 이월사업으로 관리하고 있습니다.
다음은 184페이지 중간 부분에 4 성과관리 4-1 시군종합평가 부진지표 현황은 지난해 열심히 추진해서 해당 사항이 없습니다.
다음은 하단 부분의 4-2 내부 평가 결과입니다.
우선 2022년는 최우수는 환경관리과와 토지정보과, 군내면 등이, 우수는 교육지원과와 하수과, 일동면이 차지했고, 작년은 환경지도과, 수도과, 신북면 등이 수상했습니다.
2023년도 평가는 자료 제출 당시는 추진 중이었으며 5월 현재 평가를 마무리하였으며 필요하시다면 추후 서면으로 제출하겠습니다.
다음은 185페이지에 4-3 2023년 성과시상금 지급 내역입니다.
2022년도 상반기에는 총 20건을 선정하여 1,750만 원을 지급하였으며, 이중 시정발전 성과 우수 분야는 2건에 240만 원, 국도비 및 민간 자본 확보는 3건에 370만 원, 중앙 및 외부 평가 분야는 15건에 1,140만 원을 지급하였습니다.
다음 188페이지 2022년 하반기에는 총 13건을 선정하여 2,090만 원을 지급하였으며 이중 지정발전성과 우수 분야는 1건에 100만 원, 국토부 민간자본 확보 우수 분야는 9건에 1600만 원, 중앙 및 외부 평가 분야는 3건에 390만 원을 지급하였으며 기타 건별 자세한 지급 내용은 서면으로 갈음하겠습니다.
아울러서 190페이지 하단에 2023년 상반기 성과시상금은 6월 말에 최종 심의 및 선정하여 지급할 예정에 있습니다.
다음은 191페이지 4-4 제안제도 운영 현황입니다.
먼저 운영개요로 제안제도는 시민과 공무원의 창의적인 의견과 고안을 시정에 반영함으로써 행정업무 혁신을 기하고 행정서비스 질적 향상을 도모하고자 추진하고 있습니다.
하단 부분의 운영실적으로 2022년에는 총 236건을 접수받아 20건을 심사 채택하여 시상을 한 바 있으며, 7건을 실시하고 있습니다.
2023년도에는 3월 말 현재 41건을 접수받아 1건을 채택하였으며, 상반기 국민 제안 심사는 현재 추진 중에 있습니다.
다음은 192페이지에 2023년도 운영 계획은 혁신 아이디어 공모전을 하반기 중에 실시할 예정이며, 공무원 대상 제안 발굴 역량 강화 워크숍은 지난 4월에 개최하여 7건을 발굴 시상한 실적이 있습니다.
하반기 국민제안 공모 심사는 별도 추진할 예정에 있습니다.
다음은 193페이지에 5, 대외협력 5-1 2022, `23 국제도시 교류 현황 추진 현황입니다.
우선 5-1-1 국제자매도시 추진현황으로 우리 시는 일본 후쿠도시와 중국 화이페이시 등 2개 도시와 자매결연을 체결하여 교류하고 있습니다.
우선 일본 후쿠도시는 지난해까지 코로나로 인해 온라인 교류 중심으로 추진하여 왔으며, 금년 들어서 지난 1월에 자매도시 20주년을 맞이하여 일본 방문단이 우리 시를 방문하여 국제교류 강화 협약을 맺은 바 있습니다.
아울러 8월에는 우리 시 방문단이 일본을 방문할 예정이며, 10월에는 시 승격 20주년을 맞이하여 후쿠토시예술단을 초청할 계획이 있습니다.
다음 194페이지 중국 화이베이시와의 교류 추진 현황입니다.
역시 지난해까지는 온라인 교류만 이루어져 내실 있는 추진이 어려웠으며, 금년부터는 양도 시간 지속하여 교류를 점식적으로 재개할 예정이며, 지난 4월에 우리 시 방문단이 화이베이시 식품산업 박람회에 참가하여 교류를 추진하였습니다.
역시 금년 10월에는 화페이시 방문단이 시민의날 행사에 초청 및 참가할 예정에 있습니다.
다음 195페이지 5-1-2 국제 우호도시 현황입니다.
우리 시와 국제우호도시 합의서를 체결한 도시는 총 3개국 5개 도시로써, 우선 중국은 지난시와 주저우시, 당리아현 등 3개 도시이며, 기타 벨라루스 모길레프시와 태국 방캥구 등이 국제 우호도시로 교류하고 있습니다.
다만 우호도시 역시 지난 3년간은 코로나19 인해 온라인 교류 외에는 교류 실적이 거의 없는 실정이며, 앞으로 점차 상호 교류를 적극 협의하여 추진할 예정이 있습니다.
다음은 197페이지 5-1-3 기타 교류도시 현황입니다.
우리 시는 현재 네팔 힌두리시와 중국의 허저우시 및 양치안시, 몽골 초이발산시 등 4개 도시와 우호 교류의향서를 체결하여 기타 교류를 추진하고 있습니다.
이 또한 지난 3년간 코로나19 등 여러 가지 어려움으로 특별한 교류 시책이 없었으나, 지난해부터 교류를 점차 재개하여 네팔 힌두리시는 지난해 10월 및 금년 3월에 상호방문단이 교류를 추진하였으며, 몽골 초이발산시는 지난 3월과 6월 중에 상호 방문단이 교차하여 교류를 추진하고 있습니다.
다음은 199페이지에 5-2, 중앙부처 및 경기도 등 현안사항 건의 및 반영 실적입니다.
2022년도에는 총 7건을 건의하여 4건이 반영되었고, 1건을 적극 검토 중에 있습니다.
다음은 201페이지에 2023년도에는 총 33건을 건의하여 적극 검토 및 수용이 7건이며, 일부 반영 2건, 나머지 24건은 모두 검토 중에 있습니다.
자세한 사항은 서면으로 갈음하겠습니다.
다음은 207페이지에 5-3 대외협력 추진실적으로 5-3-1 국회 및 중앙행정기관 교류 및 현안사업 연계 지원 실적입니다.
2022년 9월부터 2023년 3월 말 현재 대외협력 지원 실적으로 품격 있는 문화관광도시 조성 지원사항으로 생태 휴양도시 개발과 민간기업 투자 유치 지원, 문화예술관광도시 구축 등을 구축 등을 지원하였으며, 208페이지에 광역교통망 구축 사업 지원과 군유휴지 활용 방안 지원, 209페이지에 포천시 현안사업 추진 지원 및 미래비전 대외협력 및 홍보 등을 지원하고 있습니다.
다음은 210페이지에 5-3-2 국내외 자치단체 간 교류협력 실적입니다.
우선 2022년도에는 총 17회에 걸쳐서 타 시군 우수사례 벤치마킹을 위해 상호 방문 및 교류를 추진하였습니다.
역시 지난 3년간 코로나로 자치단체 간 실질적인 교류는 추진이 매우 어려웠습니다.
다음은 213페이지에 2023년도 3월 말 현재까지는 총 5회에 걸쳐서 타 시군 우수사례 벤치마킹 및 주민자치위원회 간의 교류가 있었습니다.
이상으로 기획예산담당관 소관 2023년도 행정사무감사 자료에 대한 보고를 모두 마치겠습니다.
감사합니다.